놀이는 전인적인 활동입니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 세상을 배우고 학습합니다. 그래서 부모들도 아이와 잘 놀아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지만 놀이 방법을 별도로 배운 것이 아니라 어렵게 느껴집니다. 유아와 놀기 위해서 명심해야 하는 3가지 내용을 살펴봅니다.

차례 지키기(Turn-taking)
먼저 위 영상을 한번 봅니다. 아이와 놀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아이와의 의사소통에서는 차례(turn)의 개념을 유념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턴을 통해 아이는 순서와 시간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서로 차례를 번갈아 가면서 활동하면서 사회적 기술을 익힐 수 있습니다.
이러한 턴 플레이를 통해 인내심, 협력을 배우고, 다른 사람의 욕구, 필요에 대해서도 이해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다만 0~1세 영아기의 아기들은 충분한 인지적, 사회적 발달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원활한 차례지키기 놀이는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보다 기초적인 행위들은 할 수 있습니다.
가령 아이의 옹알이에 부모가 순차적으로 응답하면서 서로 상호작용 하는 행위를 통해 대화를 주고받는 개념을 배웁니다. 아이와 놀아줄 때에도 공을 주고 받, 주세요, 까꿍 놀이 등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언어적으로도 “이제 네 차례야” 이런 식으로 말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평행 놀이(Parallel Play)
영유아들은 다른 아이들과 직접 상호작용 하지 않고 나란히 각자의 놀이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3세 이하의 아기들에게 흔히 보이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평행놀이를 하고 있다고 해서 아기들이 서로를 무시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서로의 존재를 보고 인식하고 있고, 관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아이의 행동을 따라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평행놀이는 영아기처럼 혼자 노는 것과는 다릅니다.
아직은 자기중심적인 사고가 강한 유아기에 주로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그래서 주로 2~3세에서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그러다가 아이가 점점 성장하면서 4세 이후에는 평행놀이보다는 서로 같이 협력하는 놀이가 발달합니다.
혼자 놀이(Solitary play)
아기 혼자서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놀이를 말합니다. 평행놀이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아이가 자신의 욕구에 따라 자유롭게 노는 블록 쌓기, 장난감 탐색, 책 보기 같은 활동입니다.
혼자 놀이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없습니다. 그래서 다른 아이를 의식하는 평행놀이와는 다른 활동입니다. 0~1세 영아들이 많이 하는 활동입니다.
아이의 놀이가 혼자 놀이, 평행 놀이, 협력 놀이로 순차적으로 발전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혼자 놀이를 충분히 경험하면 아이의 독립성과 탐구심이 발달합니다. 발달 과정에서 또래와의 사회적 놀이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놀이 표준이론
여기까지 읽으면 뭔가 이론 체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동 발달학에서는 발달에 대한 표준 이론이 있고, 놀이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이론은 밀드레드 파튼(M. B. Parten)의 놀이 발달단계입니다.

파튼은 비참여 놀이, 혼자 놀이, 평행 놀이, 연합 놀이, 협동 놀이로 구분합니다. 아이의 사회적인 참여도에 따라서 놀이를 구분하는 것이죠. 물론 실제 아이의 놀이가 나이와 발달에 따라 단계별로 명확히 구분되지는 않습니다. 여러 놀이가 중첩되어 나타납니다. 하지만 대체로 상위 단계의 놀이를 바로 하지는 못합니다.
아이의 초기 놀이경험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이고, 여기서 사회적 놀이를 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합니다. 특히 사회성이 발달하는 중이라 어떻게 놀이에 참여해야 할 지 천천히 배우고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대체 뭘 하는 걸까?” 싶은 모습을 보이거나, “왜 놀이에 참여하지 않고 가만히 보고 있지?” 같은 모습을 보기도 하겠지만 이 시기 역시 발달 과정의 일부임을 인지하고 여유 있게 지켜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목적 없이 보이는 행동도 사실은 아이가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 하고 있는 과정입니다. 안전하고 다양한 자극이 제공되는 환경에서 점차 놀이에 대한 흥미를 키워 나가면서 점차 다음 단계의 사회적 놀이로 발전해나갈 수 있는 것이죠.
https://www.childcare.go.kr/?menuno=460
위의 아이사랑 포털 정보도 확인하면 아이와 놀이하는데 도움됩니다.